-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최근 3년 사이, 이륜차(오토바이) 관련 법규가 크게 개정되었습니다.
불법 튜닝 단속, 사용검사 의무화, 정기검사 강화 등 오토바이 운전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목차
1. 오토바이 사용검사 의무화 (2025년 3월 15일 시행)
2025년부터는 번호판이 말소된 오토바이(이륜자동차)를 재등록할 때 반드시 '사용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대상: 번호판 말소 후 재등록 시
- 증명서 제출 필수: 사용검사 합격 확인서 없이는 재등록 불가
- 목적: 불법 튜닝 차량 유입 차단 및 안전성 확보
💡 팁: 중고 오토바이 구매 시, 번호판 말소 여부와 검사 이력을 꼭 확인하세요!
2. 불법 튜닝 단속 강화
이제는 단순한 머플러 교체도 튜닝 신고 대상입니다. 주요 불법 튜닝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불법 튜닝 예시 처벌 내용차체 프레임 절단 등록 말소 + 과태료 휠 교체 (규격 초과) 검사 불합격 + 수리 명령 바퀴 간 거리 변경 구조변경 신고 없으면 위법 소음기 교체 도로교통법 위반 + 벌금 - 소유자뿐 아니라 작업한 정비사까지 처벌
- 정비업체 책임도 강화됨
💡 팁: 튜닝 전에는 반드시 ‘튜닝 사전 승인’을 받는 절차를 확인하세요.
국토교통부 자동차튜닝누리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3. 오토바이 정기검사 강화
오토바이도 승용차처럼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 미사용 신고 후 무단 운행 시, 벌금이 최대 300만 원까지 부과됩니다.검사 항목 예시:
- 배출가스 기준 충족 여부
- 소음 측정 기준
- 등화장치 및 제동장치 상태
- 차량등록정보 일치 여부
💡 팁: 검사기간은 최초 등록 후 2년, 이후 매 2년마다입니다.
검사는 교통안전공단 검사소 또는 지정검사소에서 가능하며, 온라인 예약도 됩니다.4. 개인형 이동장치(PM)와 오토바이의 법적 차이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M)도 오토바이와 비슷한 법 적용을 받지만, 속도, 면허, 헬멧 의무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PM은 운전면허(원동기 이상) 필요
- 헬멧 미착용 시 과태료 2만 원
- 최고속도 20km/h 이하
💡 팁: 오토바이와 달리 PM은 자전거도로 주행이 제한적이며, 도로 상황별 주의가 필요합니다.
마무리: 바뀐 법규, 꼭 숙지하세요!
이륜차는 사고 시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법규 준수와 안전장비 착용은 선택이 아닌 의무입니다.
2025년부터 달라지는 제도에 대비해 지금부터 차량 점검, 튜닝 점검, 검사 일정 등을 정비하세요!'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동난자 사용 보조생식술 지원사업 2025 총정리: 신청자격, 지원금, 절차 완벽 가이드 (0) 2025.04.27 "요즘 핫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그 '지브리'는 누구일까?" (0) 2025.04.15 오토바이, 경찰 지시 무시하고 도주하면? 처벌 수위 · 벌금 총정리 (0) 2025.04.10 오토바이 튜닝, 어디까지가 합법일까? 단속 항목 총정리 (0) 2025.04.08 오토바이 법규 위반 시 처벌 총정리! 과태료·벌점·면허 정지까지 (0) 2025.03.31 뺑소니를 당했다면? 무보험 차량과 사고 났다면? 정부가 대신 보상해 줍니다! (0) 2025.03.30 실업급여 vs 구직급여, 차이점과 신청 꿀팁 한눈에 보기! (0) 2025.03.23 주거안정 월세대출 완벽 정리! 신청 방법부터 조건까지 한눈에 보기 (0) 2025.03.23